
🔥 알루미늄 용접 팁 – 성공적인 용접을 위한 필수 가이드
알루미늄(Aluminum)은 가볍고 강하며 부식 저항성이 뛰어나 다양한 산업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용접 시 높은 열전도율, 산화층, 팽창률 등의 특성 때문에 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까다로운 금속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알루미늄 용접 시 꼭 알아야 할 팁과 주의할 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1. 알루미늄 용접이 어려운 이유
알루미늄을 용접할 때 흔히 겪는 어려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산화층(Aluminum Oxide) 문제 → 알루미늄 표면에는 강한 산화층(녹과 비슷한 역할)이 존재하며,
녹는점이 2,000°C 이상으로 용접이 어렵게 만듦
✔ 높은 열전도율 → 빠르게 열이 확산되므로 균일한 용접 유지가 힘듦
✔ 열팽창률이 큼 → 용접 중 뒤틀림과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기공(Porosity) 문제 → 수분과 공기 방울이 용접부에 갇혀 약한 용접부가 형성될 수 있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장비, 기술, 준비 과정이 필요합니다.

🛠 2. 알루미늄 용접을 위한 필수 준비 과정
🔹 1) 알루미늄 표면 청소 (산화층 제거)
알루미늄 용접의 핵심은 산화층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 스테인리스 스틸 브러시를 사용해 용접 부위를 문질러 산화층을 제거
✔ 아세톤이나 특수 세척제(디그리서)로 표면의 기름기와 불순물 제거
✔ 용접 직전에 청소하여 산화층이 다시 형성되지 않도록 함
🔹 2) 적절한 용접 방식 선택
알루미늄 용접에는 TIG(텅스텐 불활성 가스) 용접과 MIG(금속 불활성 가스) 용접이 주로 사용됩니다.
용접 방식 | 특징 | 장점 | 단점 |
TIG 용접 (GTAW) | 텅스텐 전극과 아르곤 가스를 사용 | 높은 품질, 정밀한 용접 가능 | 속도가 느리고 숙련도가 필요 |
MIG 용접 (GMAW) | 자동 와이어 공급 방식 | 빠른 용접, 대량 생산에 적합 | 기공 발생 가능성이 있음 |
✔ 얇은 알루미늄(1.5mm 이하) → TIG 용접 추천
✔ 두꺼운 알루미늄(3mm 이상) → MIG 용접 추천
⚡ 3. 알루미늄 용접 시 유용한 팁
🔥 1) AC(교류) 전류를 사용하기
알루미늄은 TIG 용접 시 AC(교류) 전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AC 전류는 산화층을 깨끗이 제거하고 알루미늄 자체를 효과적으로 용융
🔥 2) 적절한 용접 와이어(필러 금속) 선택
✔ 일반적으로 ER4045, ER5356 와이어가 알루미늄 용접에 많이 사용됨
✔ 두 와이어의 차이점
- ER4045 → 부드러운 용접, 인장 강도 낮음
- ER5356 → 강도가 높아 구조물 용접에 적합
🔥 3) 용접 속도를 빠르게 유지하기
✔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높아 열이 빨리 퍼지므로 너무 천천히 용접하면 열이 과도하게 분산
✔ 용접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용접부가 너무 넓어지지 않도록 조절
🔥 4) 프리플로우 & 포스트플로우 가스 조절하기
✔ 프리플로우(Pre-flow) – 용접 전에 보호가스(아르곤)를 미리 방출하여 산화를 방지
✔ 포스트플로우(Post-flow) – 용접 후에도 가스를 일정 시간 더 흘려 용접부 보호
🔥 5) 용접봉(필러 메탈)을 앞에서 공급하기
✔ 용접봉을 용융 풀(웅덩이)보다 앞쪽에서 공급하면 기공이 적고 부드러운 용접면 형성 가능
❌ 4. 알루미늄 용접 시 흔한 실수 & 해결법
실수 | 문제 발생 원인 | 해결 방법 |
용접부 기공 발생 | 수분, 기름기, 불순물이 남아 있음 | 용접 전 깨끗한 청소 & 건조 |
용접이 뚝뚝 끊김 | 열전도율이 높아 빠르게 식음 | 일정한 속도로 용접, AC 전류 사용 |
크랙(균열) 발생 | 급격한 냉각 & 높은 열팽창률 | 적절한 예열 & 서서히 냉각 |
용접봉이 녹지 않음 | 용접 속도가 너무 느림 | 용접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 |
용접부가 너무 두껍거나 얇음 | 전류 세팅이 적절하지 않음 | 적절한 전류 설정 (AC 모드 추천) |
🎯 5. 알루미늄 용접 최적화 – 성공적인 작업을 위한 체크리스트
✅ 작업 전
✔ 표면 청소(산화층 & 기름기 제거)
✔ 적절한 용접 방식(TIG 또는 MIG) 선택
✔ 적절한 용접 와이어(ER4045 or ER5356) 준비
✅ 용접 중
✔ AC 전류 사용 (TIG 용접 시)
✔ 빠르고 일정한 용접 속도 유지
✔ 용접봉을 앞쪽에서 공급하여 매끄러운 용접면 형성
✅ 작업 후
✔ 포스트플로우 가스로 용접부 보호
✔ 용접 부위를 천천히 냉각하여 균열 방지
✔ 용접 품질을 점검하고 불량 부위 재작업
🏆 결론 – 알루미늄 용접 성공의 핵심은?
✔ 산화층 제거가 필수! → 표면을 깨끗이 청소해야 좋은 용접 품질 가능
✔ AC 전류 & 아르곤 가스 사용 → 산화 방지 & 균일한 용접 보장
✔ 적절한 용접 속도 유지 → 너무 빠르거나 느리면 불량 용접 발생
✔ 적합한 용접 와이어 선택 → ER4045 & ER5356 등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
알루미늄 용접은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올바른 기술과 준비 과정을 따른다면 깨끗하고 강한 용접이 가능합니다!
🔥 이제 알루미늄 용접, 문제없이 도전해 보세요! 💪😊
'소재 및 가공기술 > 금속 가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담금질이 필요 없는 고경도 강재 NAK 강재란? (2) | 2025.03.31 |
---|---|
반도체 제조에서 불소수지 코팅의 역할과 중요성 (1) | 2025.03.31 |
용융 알루미늄 도금 강판(SA1, SA2) 완벽 정리! (2) | 2025.03.29 |
판금이란? 용도와 재료, 종류 및 공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2) | 2025.03.26 |
금속 가공 및 표면 처리의 종류와 방법 정리 (1) | 2025.03.24 |
댓글
KaNonx카논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