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재 및 가공기술

특정 PFAS란? 해당 물질과 규제, PTFE 및 PFA와의 차이점

by KaNonx카논 2025. 3. 21.
반응형

특정 PFAS란? 해당 물질과 규제, PTFE 및 PFA와의 차이점

PFAS(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과불화화합물)는 내열성, 발수성, 내화학성이 뛰어나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입니다.

 

하지만 환경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정 PFAS의 개념, 주요 물질과 규제, PTFE 및 PFA와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PFAS란?

PFAS는 불소(F) 원자가 포함된 유기화합물 그룹을 의미하며, 물이 스며들지 않고 내화학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집니다.

 

📌 PFAS의 대표적 특성
발수·발유성 (물과 기름을 모두 밀어냄)
내열성 및 내화학성 (고온·부식 환경에서도 안정적)
마찰이 적고 표면이 매끄러움

 

📌 PFAS의 주요 사용처
🏭 산업용: 코팅제, 전자부품, 자동차 부품
👕 소비재: 방수 의류, 조리기구, 화장품
🔬 의료·반도체: 멤브레인 필터, 의료기기


2. 특정 PFAS란?

"특정 PFAS"는 환경 및 건강 위험성이 높아 규제 대상이 되는 일부 PFAS 화합물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규제 대상 PFAS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질 명 약어 특징 규제 여부
과불화옥탄산 PFOA 발암 가능성, 생체 내 축적 🌍 규제 강화
과불화옥탄설폰산 PFOS 내화학성 강하지만 환경 잔류성 높음 🌍 사용 금지 수준
과불화헥산설폰산 PFHxS 긴 반감기, 생태계 영향 🌍 규제 추진 중
과불화부탄설폰산 PFBS 비교적 독성이 적으나 규제 강화 중 🚧 일부 제한

이러한 특정 PFAS는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되며, 음용수·토양 오염 및 인체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3. PFAS 관련 규제

환경 문제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는 PFAS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주요 국가별 규제 현황
🌎 미국: EPA(환경보호청)에서 PFOS, PFOA를 유해물질로 지정, 검출 기준 강화
🇪🇺 유럽연합(EU): REACH 규정에서 특정 PFAS 제한, 2025년까지 사용 금지 목표
🇯🇵 일본: 산업 안전법 및 수질오염 규제를 통해 PFAS 관리

 

📌 규제 대응 방법
친환경 대체 물질 개발 (불소 프리 소재, 친환경 코팅)
폐기물 및 폐수 관리 강화 (오염 방지 시스템 도입)
제품 내 PFAS 사용량 축소 (방수 기능 강화된 친환경 섬유 개발)


4. PTFE 및 PFA와의 차이

PFAS는 여러 하위 그룹으로 나뉘는데,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PFA(과불화알콕시 알케인)

PFAS 계열에 속합니다.

 

그러나 이들은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편입니다.

구분 PTFE (테플론) PFA (불소수지 코팅)
구조 긴 사슬형 불소화합물 불소가 포함된 변형된 폴리머
특징 내열성·내화학성이 뛰어남 유연성이 높고 고온에서 성형 가능
용도 프라이팬 코팅, 개스킷, 절연재 반도체 부품, 정밀 필터
규제 여부 ❌ 규제 대상 아님 ❌ 규제 대상 아님

📌 PTFE와 PFA는 PFOS/PFOA 같은 특정 PFAS와 다르게, 생체 축적 가능성이 낮아 강한 규제 대상이 아님.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PTFE 가공 과정에서 PFOA를 사용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경우가 있음.


5. 결론

PFAS는 강한 내열성과 발수성 때문에 산업적으로 유용하지만,

환경 및 건강 문제로 인해 특정 PFAS(예: PFOA, PFOS 등)는 규제가 강화되고 있음.


PTFE 및 PFA는 PFAS 계열이지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현재로서는 규제 대상이 아님.


미래에는 PFAS 대체 소재가 개발될 가능성이 높으며, 기업들은 친환경 소재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함. 🌱

반응형

댓글

KaNonx카논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