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고장력 볼트란?
고장력 볼트는 일반 볼트보다 강한 인장력을 견딜 수 있는 고강도 재질로 제작된 볼트입니다. 강한 체결력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에서 사용되며, 강력한 조임력을 통해 구조물 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합니다.
🔩 왜 고장력 볼트를 사용하는가?
일반 볼트 | 고장력 볼트 |
낮은 인장 강도 | 높은 인장 강도 (예: 8.8, 10.9, 12.9급) |
체결 후 약간의 틈 허용 가능 | 체결 시 미끄러짐/움직임 거의 없음 |
저비용, 경량 구조물용 | 고중량·하중 구조물에 적합 |
주요 목적:
- 고하중을 받는 구조물에 안정적인 체결
- 내진, 내풍 구조 확보
- 장기적인 이완 방지
🏗️ 쓰임새
고장력 볼트는 주로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 건축 구조물: 철골 구조물 연결 (H빔, 트러스 등)
- 교량 및 터널: 연결부 체결, 충격 하중 대응
- 중장비 및 중공업: 크레인, 굴착기, 선박 부품 체결
- 자동차 및 철도차량: 고속주행시에도 부품 유지
- 풍력/태양광 발전 설비: 진동과 장기 하중에 대응
🧪 고장력 볼트의 재질 (소재)
주로 다음과 같은 소재가 사용됩니다:
SCM435 (크롬몰리브덴강) | 고강도 + 내열성 우수 |
42CrMo4 | 높은 인장강도와 충격 저항성 |
탄소강 (중탄소) | 비용 효율성 높고 표면 열처리 가능 |
스테인리스강 (304, 316) | 내식성 요구 시 사용 |
※ 대부분 열처리(Quenching & Tempering)로 인장 강도를 강화하여 사용합니다.
🔢 고장력 볼트의 종류
1. 마찰 접합용 고장력 볼트 (Friction-Type)
- 체결 시 마찰력으로 하중 전달
- 체결력 기준 엄격
- 주요 사용처: 교량, 고층 빌딩
2. 베어링 접합용 고장력 볼트 (Bearing-Type)
- 볼트 자체가 하중을 지지
- 구멍에서 약간의 움직임 허용
- 마찰 접합보다 허용 오차 큼
3. 육각형 볼트 (Hexagon Bolt)
- 가장 일반적인 형상
-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로 체결 가능
4. 토크 전단형 볼트 (Tension Control Bolt, T/C 볼트)
- 일정 토크 도달 시 볼트 머리가 절단되어 시각적 확인 가능
- 대량 체결 시 공정 효율성 우수
🛠️ 사용 방법 및 주의사항
1. 토크 관리
- 전용 토크렌치를 사용하여 규정된 체결력 확보
- 토크미터나 T/C 렌치로 검사 가능
2. 체결 순서 준수
- 중앙 → 외곽 순으로 체결
- 변형 방지 및 균등한 하중 분포
3. 프리텐션 적용
- 체결 시 일정량의 인장력을 미리 걸어 접합력 증가
- ‘프리텐션 볼트’라고도 부름
4. 체결력 검사
- 초음파, 전기 저항, 토크-각도 측정법 등 사용
⚠️ 고장력 볼트 사용 시 유의사항
- 재사용 금지: 한 번 사용한 고장력 볼트는 탄성 한계를 초과했을 가능성이 높아 재사용 금지
- 윤활 여부 확인: 미끄럼 면에는 윤활제가 없어야 하며, 조임면에는 필요한 경우만 적용
- 기후 조건 고려: 외기 노출 구조물은 내식성 처리(도금 또는 스테인리스) 필요
✅ 고장력 볼트의 표기 예시
M20 × 100L – 10.9
- M20: 나사 지름 20mm
- 100L: 길이 100mm
- 10.9: 강도 등급 (인장 강도 약 1000MPa, 항복 강도 900MPa 이상)
📌 고장력 볼트 vs 일반 볼트 비교표
항목 | 고장력 볼트 (High-Tension Bolt) | 일반 볼트 (Ordinary Bolt) |
강도 등급 | 보통 8.8, 10.9, 12.9급 이상 | 4.6, 5.6, 6.8급 등 |
인장 강도 | ≥ 800 MPa 이상 | 400~600 MPa 수준 |
항복 강도 | 인장 강도의 약 90% 수준 | 인장 강도의 60~70% 수준 |
재질 | 열처리된 합금강 (예: SCM435) | 탄소강 또는 연강 |
체결 방식 | 정밀 토크 관리 / 프리텐션 적용 | 일반적인 토크 체결 |
체결력 유지력 | 장기 유지 우수 (풀림 적음) | 느슨해질 가능성 높음 |
주요 사용처 | 구조물, 교량, 철골, 중장비, 플랜트 | 기계 부품, 가구, 경량 구조 |
진동·충격 저항성 | 매우 우수 (마찰 접합 가능) | 낮음 |
재사용 가능성 | ❌ 1회용 (사용 후 폐기 권장) | ⭕ 반복 사용 가능 (상태 확인 필요) |
가격 | 고가 (재질 및 강도 영향) | 상대적으로 저렴 |
필요 도구 | 토크렌치, 텐션렌치, T/C렌치 | 일반 스패너, 드라이버 등 |
🔍 정리 포인트
- 고장력 볼트는 단순히 ‘강한 볼트’가 아니라, 정밀한 체결력과 구조 안정성을 보장하는 특수 목적용 볼트입니다.
- 일반 볼트는 비구조 부위 또는 하중이 낮은 부품 고정용으로 충분합니다.
- 구조물의 하중, 진동 조건, 사용 환경을 고려해 적절한 볼트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 고장력 볼트 종류별 용도 추천 가이드
볼트 종류 | 특징 | 주요 용도 |
마찰 접합용 고장력 볼트 (Friction Type) | - 체결력 자체가 구조물 하중을 견디는 방식 - 마찰 계수를 기반으로 설계 - 고정밀 시공 필요 |
- 교량 연결부 - 철골 빔 간 접합부 - 고층 건물 구조 부재 - 내진 구조물 |
베어링 접합용 고장력 볼트 (Bearing Type) | - 볼트 자체가 하중을 직접 지지 - 마찰력보다는 전단력 중심 - 구멍의 약간의 움직임 허용 |
- 공장 구조물 - 장비 프레임 - 철도차량 체결부 - 산업 플랜트 |
T/C 볼트 (Tension Control Bolt) | - 토크 도달 시 외부머리 절단으로 체결력 시각 확인 가능 - 대량 자동화 시공 적합 |
- 대형 쇼핑몰, 물류센터 - 철강 구조물 생산라인 - 현장 시공 인건비 절감 목적 구조물 |
육각형 고장력 볼트 (Hex Bolt) | - 가장 범용적인 고강도 볼트 - 설치 및 유지보수 용이 |
- 크레인 조립부 - 플랜트 배관 지지 - 기계 구조물 프레임 |
🧪 고장력 볼트 체결력 시험법 비교
시험 방법 | 개요 | 장점 | 단점 | 적용시기 |
토크 방식 (Torque Method) | - 정해진 토크값까지 조임 - 토크렌치 사용 |
- 간편함 - 장비 접근성 높음 |
- 마찰 계수에 따라 오차 발생 - 정확도 낮음 |
- 간단한 구조, 정밀도 덜 필요한 구조물 |
토크-각도 방식 (Torque + Angle Method) | - 토크로 초기 체결 후, 일정 각도만큼 추가 회전 - 재현성 향상 |
- 마찰 영향 적음 - 체결력 일정 |
- 작업자 숙련도 요구 - 각도 측정 장비 필요 |
- 중요 체결부, 품질관리가 중요한 시공 현장 |
템플릿/길이 측정 방식 | - 프리텐션 적용 후 길이 또는 볼트 노출 길이 확인 | - 현장 육안 확인 가능 | - 조임 정확도 낮음 - 보조 방식으로 사용 |
- 시공 후 육안 점검용 보조 수단 |
전기저항 측정 방식 (Eddy Current, Smart Bolt) | - 전자 센서로 체결력 측정 - 특수 볼트 사용 |
- 고정밀 측정 - 디지털 관리 가능 |
- 고비용 - 시스템 필요 |
- 원전, 항공기 부품, 고위험 구조물 |
초음파 측정 방식 (Ultrasonic Tension Measurement) | - 초음파로 볼트 길이 변화 측정 - 인장력 직접 계산 |
- 매우 정확 - 비파괴 검사 가능 |
- 고가 장비 필요 - 전문가 운용 필수 |
- 핵심 구조물, 장기 모니터링 구조물 |
🔧 팁: 고장력 볼트 시공 시 체크리스트
✅ 설계 도면의 체결력 기준 확인
✅ 볼트 종류별 적합성 판단 (마찰 vs 베어링)
✅ 체결 순서 및 프리텐션 단계 준수
✅ 체결력 시험법 및 장비 확보
✅ 체결 후 검사 및 재점검 계획 수립
반응형
'소재 및 가공기술 > 금속 가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아연 도금 강판의 특징과 규격, 전기 아연 도금 강판의 모든 것 (2) | 2025.05.19 |
---|---|
갈타이트 강판(SZAC) & 갈판 강판(SZAH) 완벽 정리! (1) | 2025.04.21 |
오차 1/1000mm까지! 정밀 가공이란? 개념, 방식, 사용 분야 전문 용어까지 (1) | 2025.04.14 |
🔧 금속 성질과 가공 기술 완전 정복 모음집 (1) | 2025.04.08 |
🔩 담금질이 필요 없는 고경도 강재 NAK 강재란? (2)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