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재생에너지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구매계약)란? PPA 종류 포함

by KaNonx카논 2025. 3. 20.
반응형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구매계약)란? PPA 종류 포함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구매계약)란?

PPA(Power Purchase Agreement)는 발전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구매자가 직접 계약을 통해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재생에너지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과 발전사업자 간에 체결되며,

종류에 따라 계약 구조와 운영 방식이 달라집니다.

 

PPA의 주요 유형과 특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PPA의 종류

✨ 물리적 PPA (Physical PPA)

  • 발전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직접 구매자에게 공급하는 계약
  • 송·배전망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전력을 전달
  • 주로 대규모 전력 사용 기업과 발전소 간 계약
  • 비유: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직접 배달해 주는 택배 서비스

 

✨ 가상 PPA (Virtual PPA, 금융 PPA)

  • 전력의 물리적 공급 없이 발전사업자와 구매자가 전력 가격 변동에 대한 차액을 정산하는 계약
  • 구매자는 기존 전력망에서 전력을 공급받으며, 발전사업자와는 재무적 거래를 함
  • 주로 재생에너지 인증(REC) 확보 및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
  • 비유: 주식 시장에서 거래하는 것처럼, 실제 전기를 받지 않고 가격 차이만 정산하는 방식

 

✨ 온사이트 PPA (On-site PPA)

  • 발전소를 구매자의 사업장 내에 직접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
  • 전력망을 거치지 않고 직접 공급되므로 송·배전 비용 절감 가능
  • 태양광, 풍력 등의 소규모 발전 시설에서 자주 활용
  • 비유: 집 옥상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전기를 직접 만들어 쓰는 것

 

✨ 오프사이트 PPA (Off-site PPA)

  • 발전소가 구매자와 다른 위치에 있으나, 송·배전망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계약
  •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와 기업 간 장기 계약이 일반적
  • 비유: 멀리 있는 농장에서 재배한 농산물을 배달받아 먹는 것

 

✨ 집합형 PPA (Aggregated PPA)

  • 여러 구매자가 공동으로 하나의 발전소와 계약하는 형태
  • 중소기업들이 공동으로 PPA를 체결하여 재생에너지를 확보하는 방식
  • 비유: 여러 가게가 모여 공동 구매를 통해 도매가로 물건을 싸게 사는 것

 


2. 직접 PPA vs. 제3자 PPA

PPA 계약 방식 중 직접 PPA제3자 PPA는 운영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직접 PPA (Direct PPA) 제3자 PPA (Third-Party PPA)
계약 방식 발전사업자 ↔ 소비자 발전사업자 ↔ 한전 ↔ 소비자
중개기관 없음 (직접 계약) 한전 또는 전력 판매사업자
송·배전망 이용 필요할 수 있음 (별도 비용) 한전망을 이용 (송·배전료 포함)
적용 대상 대기업, 대규모 사업장 중소기업, 재생에너지 구매 희망 기업
  • 직접 PPA는 발전사업자와 소비자가 직접 계약을 맺어 전력을 거래하는 방식으로, 기업이 한전을 거치지 않고 전력을 구매합니다. 대기업이나 대규모 전력 소비 기업이 주로 활용합니다.

 

  • 제3자 PPA는 발전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한국전력(한전)과 같은 전력 판매사업자가 매입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상대적으로 중소기업이나 재생에너지 사용을 원하는 기업에 적합합니다.

 

비유

  • 직접 PPA: 농장에서 직접 채소를 구매해 가져오는 방식
  • 제3자 PPA: 마트에서 중개를 거쳐 채소를 구매하는 방식

 


제3자 PPA를 선택하는 이유

  1. 초기 투자 부담 없음:
    • 직접 PPA는 기업이 발전소와 직접 계약해야 하므로 송·배전 비용과 계약상의 복잡성이 커질 수 있어요.
    • 반면, 제3자 PPA는 한전이 중개하기 때문에 기업이 직접 발전소를 운영하거나 유지보수할 필요가 없어요.
  2. 송·배전망 이용의 편리함:
    • 직접 PPA는 송·배전망을 이용할 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 제3자 PPA는 한전이 송·배전을 관리하기 때문에 전력망 이용이 훨씬 쉽고 안정적이에요.
  3. 중소기업에 유리함:
    • 직접 PPA는 대규모 전력 소비 기업에 적합한 반면, 중소기업은 전력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제3자 PPA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에요.
    • 한전이 중개하면서 신뢰성과 안정성이 높아지고, 계약 조건도 더 유연할 수 있어요.
  4. 법적·행정 절차 간소화:
    • 직접 PPA는 계약 과정이 복잡하고 정부 규제를 준수해야 할 사항이 많아요.
    • 제3자 PPA는 한전이 이를 대신 처리해 주므로 행정 절차 부담이 줄어들어요.
  5. 전력 안정성 보장:
    • 발전사업자가 문제가 생길 경우 직접 PPA는 전력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지만, 제3자 PPA는 한전이 공급을 보장해주기 때문에 더 안정적이에요.

👉 결론:
기업의 규모, 전력 사용량, 초기 투자 가능성, 행정 부담 등을 고려했을 때,

중소기업이나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싶은 기업은 제3자 PPA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