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접지 저항값이 나오지 않을 때 해결 방법
전기 설비에서 접지 저항값은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측정 시 저항값이 나오지 않거나 이상하게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인에 맞는 해결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접지 저항값이 나오지 않는 원인과 해결 방법을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
🔍 1️⃣ 접지 저항값이 나오지 않는 원인
1. 접지 전극이 불량하거나 손상된 경우
✔️ 접지봉이 부식되거나 제대로 박혀 있지 않을 경우 저항값이 이상하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 접지 케이블이 단선되거나 접촉 불량 상태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2. 토양 저항률(Soil Resistivity)이 높은 경우
✔️ 건조한 토양, 모래, 암반 지대에서는 접지 저항이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 특히 비가 오지 않은 건조한 날에는 토양의 저항률이 증가하여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3. 측정기기의 문제
✔️ 접지 저항계가 손상되었거나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 올바르게 측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측정기 프로브(Probe)나 리드선이 손상되었거나 접촉이 불량할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측정 방식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
✔️ 측정기 프로브의 배치가 적절하지 않거나, 측정 거리가 너무 짧을 경우 측정값이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근처의 전기적 간섭(노이즈, 접지 간섭 등)**으로 인해 측정이 방해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2️⃣ 접지 저항값이 나오지 않을 때 해결 방법
✅ 1. 접지 전극(접지봉) 상태 점검 및 개선
🔹 접지봉 연결 상태 확인:
- 접지봉이 부식되거나 헐겁게 연결된 경우 교체 또는 단단히 고정합니다.
- 접지선(접지 와이어)의 단선 여부 및 접촉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 시 재연결합니다.
🔹 접지봉 추가 설치:
- 단일 접지봉이 충분한 접지 저항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여러 개의 접지봉을 직렬 또는 병렬로 추가 연결하여 저항을 낮출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3~5개의 접지봉을 병렬로 연결하면 효과적으로 저항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접지봉을 더 깊게 삽입:
- 토양의 표면이 건조한 경우, 접지봉을 더 깊이 삽입하면 습기가 많은 지층에 도달하여 저항값을 낮출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2~3m 이상 깊이 삽입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2. 토양 저항률 낮추기
🔹 접지 주변의 토양 개량:
- 건조하거나 저항률이 높은 토양(모래, 암반 등)에서는 접지 저항값이 높게 측정됩니다.
- 소금물(염화칼슘, 염화나트륨), 숯, 벤토나이트(Bentonite) 등을 토양에 혼합하면 저항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 물 뿌리기:
- 비가 오지 않은 기간에는 접지봉 주변에 물을 뿌려 토양의 전도성을 높이면 저항값을 낮출 수 있습니다.
- 단, 지속적인 효과를 위해 **습기를 유지할 수 있는 물리적 조치(예: 숯, 벤토나이트 사용)**가 필요합니다.
✅ 3. 측정기기 및 측정 방식 점검
🔹 측정 장비 이상 여부 확인:
- 접지 저항계의 배터리를 교체하고, 다른 장비를 사용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해 봅니다.
- 측정기 리드선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필요 시 교체합니다.
🔹 측정 프로브의 배치 조정:
- 접지 저항을 측정할 때 측정 프로브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 일반적으로 접지봉과 프로브 간의 거리를 최소 5~10m 이상 떨어뜨려 측정해야 합니다.
🔹 전기적 간섭(노이즈) 방지:
- 주변에 강한 전자기 간섭(고압선, 변압기, 전기 설비 등)이 있는 경우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경우 측정 위치를 변경하거나, 측정 기기의 필터 기능을 활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 4. 대체 접지 방법 고려
- 위의 방법으로도 접지 저항값이 나오지 않는다면, **다른 형태의 접지 방식(예: 인공 접지, 매쉬(Mesh) 접지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 특히 산업용 시설에서는 화학적 접지(저항 저감제 사용) 또는 깊은 접지(Deep Grounding)를 활용하면 저항값을 안정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 3️⃣ 결론
📌 접지 저항값이 나오지 않을 때는 아래 순서로 점검하세요!
1️⃣ 접지봉 및 접지선 연결 상태 확인 → 단선 여부 및 부식 체크
2️⃣ 접지봉 추가 또는 깊이 삽입 → 다중 접지봉 사용
3️⃣ 토양 저항률 낮추기 → 벤토나이트, 숯, 소금물 활용
4️⃣ 측정 장비 및 측정 방식 점검 → 측정 거리 확보, 노이즈 제거
5️⃣ 대체 접지 방식 고려 → 인공 접지, 화학적 접지 활용
✅ 위 방법을 적용하면 접지 저항값을 안정적으로 측정하고 전기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소재 및 가공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간 압연 강(Hot Rolled Steel) 등급과 특징 🏗️ (3) | 2025.04.01 |
---|---|
접지, 본딩, 그라운딩의 차이점과 개념 정리 (0) | 2025.03.31 |
⚡ 단로기, 부하스위치, 스위치 단로기, 회로 차단기의 차이점 (0) | 2025.03.28 |
⚡ 접지(어스) 시스템의 종류와 역할 상세 정리 (0) | 2025.03.27 |
원소 주기율표, 우리의 일상 속 숨은 과학 (2) | 2025.03.25 |
댓글
KaNonx카논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