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날씨보다 일조시간이 더 중요한 이유

by KaNonx카논 2020. 3. 26.
반응형

태양광 발전, 날씨보다 일조시간이 더 중요한 이유


 태양광 발전, 날씨보다 일조시간이 더 중요한 이유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 입니다.]


출처 - https://www.taiyo-co.jp/98709/




발전량을 좌우하는 것은 "연간 일조 시간"


태양 광 발전이 유리한 토지는 '쾌청 일수가 많은 곳'이라고 생각되기 쉽상이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이 '일조 시간의 길이' 쉽게 말해 '해가 긴' 지역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비오는 날은 발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발전량은 0이 되지는 않습니다. 


낮이면 언제든지 다소는 발전이 가능하며, 쾌청 여부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만일 맑은날의 발전 효율을 100 %로 보고,


구름 낀 날을 30 %, 


비를 10 %로 가정하면 1kWh(1시간 1kW 발전 할 수 있다)의 태양광 패널을 사용하면 


흐린 날에는 시간당 0.3kW, 


비오는 날에는 0.1kW 발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조 시간이 짧아지면 아무리 맑은 날이 많은 지역에서도 발전량이 좀처럼 늘어나지 않습니다.



일조 시간이 긴 영역의 경우에는 비록 시간당 발전량이 떨어지더라도, 


종합적으로 보면 매전 양이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쾌청한 날씨에 일조 시간이 4시간 밖에 없는 지역의 경우, 하루의 발전량은 4kW. 


그러나 70% 정도의 발전 효율을 유지할 수 없는 날씨 하에서 


일조 시간이 6 시간이면 0.7 × 6 시간 4.2kW으로 위의 발전량을 초과하게 됩니다. 



또 태양광 발전 사업을 할 시 "일사량"이란 용어도 듣지만, 


이것과 일조 시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첫째, 일조 시간은 태양이 땅을 비추는 시간을 가리키는 말로, 


일사량은 태양에서 쏟아지는 빛 에너지의 총량, 즉 빛의 강도를 가리킵니다. 




적설량 · 강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을까?


태양광 발전, 날씨보다 일조시간이 더 중요한 이유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적설 지역과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태양광이 적합하지 않다고 합니다. 


확실히 일조 시간 확보도 어렵고, 


적설 지대라 패널이 눈으로 덮힐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반대로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열 효과에 의해 태양광 패널의 발전 효율이 떨어진 것에 있습니다. 


온난한 지역의 경우 일사량을 확보 할 수 있는 온도가 상승하면 


패널의 온도도 올라 버려 발전 효율이 떨어져버리는 일이 있습니다. 


물론 적설 지대는 겨울철의 발전량을 보면 우울합니다만, 


여름에도 안정적으로 발전 할 수 있기 때문에 


1년을 전체적으로 바라볼 때에 유리할 것입니다.


여기에서도 일조 시간이 깊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중요



태양광 발전, 날씨보다 일조시간이 더 중요한 이유


이 외에도, 매전 금액을 좌우하는 몇 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각 메이커가 제시한 매월 발전량을 보면,


발전량이 많은 시기는 3 ~ 5월. 


즉, 봄처럼 해가 길고 온화한 기후가 태양광 발전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쾌청한 날씨가 많다' 거나 '온난하다'등 기상 조건뿐만 아니라


'안정된 기후' 라는 것도 태양광 발전에 있어 중요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치 장소의 기후뿐만 아니라 태양광 패널의 방향이나 각도, 


시스템 용량 등도 관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적합한 시설을 선택하세요.


최근에는 열에 강한 태양광 패널과 눈의 반사광을 이용한 양면형 태양 광 패널 등의 실험도 진행되고 있으며, 


각 업체를 비교하여 현장에 적합한 유형을 선택 해야 합니다.


방향이나 각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남향 20 ~ 30도가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조 시간에서 태양 광 발전에 유리한 위치를 선택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기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