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재생에너지/신기술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 2030년까지 4500억엔 성장 예상

by KaNonx카논 2020. 3. 12.
반응형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 2030년까지 4500억엔 성장 예상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 2030년까지 4500억엔 성장 예상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입니다.]


출처 - https://project.nikkeibp.co.jp/ms/atcl/19/news/00001/00665/?ST=msb



후지 경제는, 기존 태양 전지의 발전 성능을 상회 할 것으로 


기대되는 페로브스카이트(PSC), 염료 감응(DSC), 유기 박막(OPV), 갈륨 비소(GaAs) 등 


차세대 태양 전지에 대한 세계 시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에 기존 태양 전지의 시장 규모 · 4조 1730억 엔이며,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은 6억 엔으로 전망 된다고 한다. 


여기서 기존 태양 전지의 시장 규모는 결정 실리콘 형 외에도 


CIS (CIGS)와 CdTe 계 화합물 반도체 형을 포함한다.



현재는 사례가 적지만 연구 개발과 상용화가 진행되면 


기존 태양 전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큰 것으로 보이며, 


2030년에는 기존 태양 전지 시장의 약 10 분의 1이 


4563 억엔까지 성장할 거라 예측한다. 




향후 기존 태양 전지를 대체 하기 위해서는,


제조 비용이 20 엔 / W 대에 돌입한 실리콘이나, 


더 저렴한 비용 목표를 내거는 CdTe와의 경쟁은 불가피해 


가격 경쟁력 제고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 2030년까지 4500억엔 성장 예상


2020/01/31 - 리코, 실내조명에서도 발전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광 모듈 출시




품목별로는 염료 감응은 약 10년 전에 상용화 되어 있었지만, 


지금까지 핵심 용도 개척이 진행되지 않았다. 


최근 IoT의 진전에 따라 통신 · 센서용 전원으로 채용이 진행 되고 있다. 


내구성과 발전이 우수하고 실내 외 모두에서 일정한 광량이 있으면 


항상 발전 가능하며 다른 전원에 없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 2030년까지 4500억엔 성장 예상


2020/03/11 - 초박형의 유기 태양 전지 수명 15배, 변환 효율 1.2배 고성능화 성공



유기 박막은 일본에서는 연구 개발 단계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이미 상용화 하고 있는 업체가 많다.


주로 건축 자재 일체형 태양 전지 (BIPV)으로 채용이 진행되고있다. 


실리콘 등 기존 태양 전지와 경쟁하지만, 


반투명에도 일정한 발전량을 얻을 수 있어 


기존 태양 전지가 적합하지 않은 벽면에 설치할 수 있어


고온 · 고위도 지역에 강한 등의 우위를 점 할 수 있으므로, 세계적으로 보급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 2030년까지 4500억엔 성장 예상


2020/01/21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파나소닉 세계 최고 효율 달성



페로브스카이트 기존 태양 전지의 주류인 실리콘 태양 전지의 발전 성능을 


상회 할 것으로 기대하여 연구 개발하는 업체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과 유럽 업체가 선행한다. 


내구성과 유해 물질인 납 사용에 대한 문제로 인해서 단기적으로는 양산 · 양판은 어렵다.


한편, 과제 해결의 진전에 따라서는 예상을 웃도는 속도로 보급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 2030년까지 4500억엔 성장 예상


비소 갈륨은 인공위성 등 우주, 사막 건조 지역에 도입하는 


집광형 태양 광 발전 시스템 (CPV)에서 40년 이상의 연륜이 있다.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높은 비용, 그리고 유해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2019년에는 상용 판매 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변환 효율이 태양 전지 중 최고 수준이며, 


면적당 출력이 크기 때문에 자동차 나 무인 항공기 (UAV) 등의 


이동체 용도로의 시장 확대가 기대 된다고 한다.





재생 에너지에 대한 동영상



관련 기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