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이것저것/엑셀 활용

Microsoft Excel의 함수로 근무일을 계산하는 방법

by KaNonx카논 2025. 3. 25.
반응형

📊 Microsoft Excel에서 근무일(Workday) 계산하는 방법

Excel에서 근무일(평일)만 계산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업무 마감일을 계산하거나 프로젝트 일정 관리를 할 때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날짜 계산이 필요하죠.

다행히도, Excel에는 이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WORKDAYNETWORKDAYS 함수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근무일을 계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


🔹 1. WORKDAY 함수로 특정 날짜 이후 근무일 계산하기

WORKDAY(start_date, days, [holidays])

  • start_date : 시작 날짜
  • days : 며칠 뒤의 근무일을 계산할지 지정
  • holidays (선택) : 공휴일을 입력하면 자동 제외

예제 1: 특정 날짜 이후의 근무일 계산

📌 1월 1일부터 10일 후의 근무일(주말 제외) 계산

=WORKDAY(A2, 10)

🔹 A2 셀에 2024-01-01이 입력되어 있으면, 10일 후의 근무일(평일) 날짜를 반환합니다.
💡 주말(토·일)은 자동 제외됩니다!


예제 2: 공휴일까지 제외한 근무일 계산

📌 1월 1일부터 10일 후의 근무일 계산 (공휴일 제외)

=WORKDAY(A2, 10, B2:B5)

🔹 B2:B5 범위에 공휴일 목록이 있으면 해당 날짜도 제외!

공휴일 목록 예시:

날짜 공휴일
2024-01-05 신정
2024-02-09 설날

📌 결과: 1월 1일부터 10 근무일 후지만, 공휴일(1/5)이 포함되면 1월 16일로 계산됨.


🔹 2. NETWORKDAYS 함수로 두 날짜 간 근무일 계산하기

NETWORKDAYS(start_date, end_date, [holidays])

  • start_date : 시작 날짜
  • end_date : 종료 날짜
  • holidays (선택) : 공휴일 목록 지정 가능

예제 1: 두 날짜 사이의 근무일 수 계산

📌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총 근무일 계산

=NETWORKDAYS(A2, B2)

🔹 A2 = 2024-01-01, B2 = 2024-01-31
🔹 주말(토·일) 제외하고 계산된 총 근무일 수 반환


예제 2: 공휴일까지 고려한 근무일 계산

📌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공휴일 제외한 근무일 계산

=NETWORKDAYS(A2, B2, C2:C5)

🔹 C2:C5 범위에 공휴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제외!

📌 결과: 주말과 공휴일 제외한 총 근무일 수 반환


🔹 3. WORKDAY.INTL 및 NETWORKDAYS.INTL 함수 (주말 커스텀 설정)

기본적으로 Excel은 토요일·일요일을 주말로 간주하지만,
WORKDAY.INTL 및 NETWORKDAYS.INTL을 사용하면 다른 요일을 주말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예제 1: 주말을 "금·토요일"로 변경하여 근무일 계산

=WORKDAY.INTL(A2, 10, 7)

🔹 7 = 금·토요일을 주말로 설정
🔹 10일 뒤 근무일 계산 시, 금·토요일 제외

📌 주말 옵션 코드:

코드 주말 설정
1 토·일 (기본값)
2 일·월
3 월·화
7 금·토

예제 2: 네트워크 근무일 계산 시 주말 설정

=NETWORKDAYS.INTL(A2, B2, 7, C2:C5)

🔹 금·토를 주말로 설정하고, 공휴일 제외한 근무일 계산!


정리

✔ WORKDAY: 특정 날짜에서 근무일 기준 N일 후 날짜 반환
✔ NETWORKDAYS: 두 날짜 사이의 근무일 수 계산
공휴일 반영 가능! (B2:B5처럼 범위 입력)
✔ WORKDAY.INTL, NETWORKDAYS.INTL: 주말 요일을 원하는 대로 설정 가능

📌 프로젝트 마감일, 일정 관리, 근무일 계산이 필요할 때? Excel의 WORKDAY & NETWORKDAYS 함

반응형

댓글

KaNonx카논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