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일본 기사 번역

환경과 함께 성장하는 ESG 투자는 지속이 가능한가?

by KaNonx카논 2020. 4. 16.
반응형

환경과 함께 성장하는 ESG 투자는 지속이 가능한가?



 환경과 함께 성장하는 ESG 투자는 지속이 가능한가?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 입니다.]


출처 - https://headlines.yahoo.co.jp/article?a=20200416-00010003-wedge-bus_all



금융 업계에서도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있다. 


ESG (환경 · 사회 · 지배 구조) 투자와 


그린 본드 (환경 용도로 한정한 채권) 발행액은 최근 몇 년간 급증하고있다.




세계적인 초저금리가 계속되는 가운데,


운용 수익을 어떻게 올려가는 것인가는 금융 기관에게는 사활 문제. 


금융 기관은 운용 이외의 수익 기회를 추구하는 투자 신탁이나 


연금 상품 등을 판매하고 수수료를 버는 비즈니스로 이동하고 있다. 


"환경"을 포함하는 ESG 투자는 기금 조성 '간판'으로도 큰 역할을 하고있다.



이 흐름은 2006년 당시 코피 아난 유엔 사무 총장이 제창한 '책임 투자 원칙 (PRI) "로 시작된다. 


기관 투자자는 투자 분석 및 의사 결정 과정에 ESG 이슈를 통합하는 등 


수탁자 책임의 범위에서 지속 가능한 사회 구축에 공헌해 나가는 것이다.



이 원칙에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그 세계의 유명한 기관 투자자가 서명하여 큰 흐름이되었다. 


일본에서도 신탁 은행, 뮤추얼 펀드, 생명 보험 등이 서명하고 있는데, 


특히 주목된 것이 15 년 세계 최대의 기관 투자자인 


연금 적립금 관리 운용 독립 행정법인(GPIF)의 서명이다. 


운용 자산은 약 170조엔 규모를 자랑한다. GPIF가 국내 ESG 투자 붐에 불을 붙였다.




환경과 함께 성장하는 ESG 투자는 지속이 가능한가?



같은시기에 유엔에서 열린 정상 회담에서 2030년까지 달성할 목표로 


17 SDGs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가 정해졌다. 


이 중에는 '기후 변화에 구체적인 대책을 "에너지를 모두에게 그리고 깨끗하게"라는 목표도 포함되어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자세도 바뀌어왔다. 


간부들이 대거 SDGs 배지를 켜고, 


자사 HP 등에서 SDGs 노력을 표명하거나 어필하고있는 기업도 눈에 띈다.


"과거 환경 대책 비용으로 밖에 없었지만, 


지금은 기업 평가를 높이며, 채용 활동에도 영향"(있는 메이커 간부)이라고한다.


이러한 세계적인 움직임이 ESG 투자를 더욱 높이고있다.


일본 지속 가능한 투자 포럼의 조사에 따르면, 


지속 가능한 투자 잔액은 19년 3월말 현재 


전년 대비 45% 증가한 336조 396억엔, 총 운용 자산의 56 %를 차지한다.



ESG 투자는 다양한 투자 기법이있다. 


기본적으로 재무 분석 등 전통적인 방법 이외에, 


E, S, G 각각의 비재무 정보를 채점하고 투자 대상을 선정할 예정이다. 


특히 「감정」라고도 말할 투자 대상의 선정이 중요하다.



선정시 다이 베스트먼트 (투자 철수), 


즉, 석탄 화력, 원자력 발전소, 군사 산업, 담배 등 특정 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ESG 평가가 높은 기업을 선별하기도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정가의 입구 인 역할을하고있는 ESG 평가 기관의 점수를 참고하여 


투자 대상을 선정하는데 그 방법은 다양하다.



또한 내용을 명확하게 E, S, G별로 분류하기 어렵다. 


단, E, 즉 환경에 대한 투자는 S와 G에 비교하면 알기 쉽다.


지구 온난화 대책 탈 탄소 사회, 신 재생 에너지 등 다양한 테마가 있다. 


그 노력과 결과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쉽다.


또한 환경 관련 투자 및 자금 지원을 목적으로하는 자금도 모으기 쉽다.


환경에 용도를 한정한 그린 본드 발행액은 환경 투자 붐을 상징하고있다. 


국내 기업의 그린 본드 발행액은 17년 2223억엔 이었지만, 


18년은 5363억엔, 19년에는 8238억 엔 (그린 본드 발행 촉진 플랫폼)로 급성장하고있다.




관련 기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