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태양광281

유리창 너머의 일광욕은 무의미, 비타민 D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유리창 너머의 일광욕은 무의미, 비타민 D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 입니다.] 출처 - http://zapzapjp.com/54973528.html "뼈의 형성을 돕는 비타민 D를 얻기 위해 일광욕을 하는 것은 유효하다." 등 텔레비전에서 보고 들을 수 있는데, 비타민 D를 만든다는 의미에서 창문에서 들어오는 햇빛에 일광욕을 도 실은 전혀 의미가 없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필수 영양소 비타민 D는 인간의 건강에 중요한 영양소이며, 햇빛을 받게에서 생합성 할 수있는 영양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활 리듬과 스타일의 관계로 좀처럼 햇빛을 받을 수 없는 사람도 있을 것 입니다만, "유리를 통해 받는 햇빛으로 비타민 D를 만들어 낼 수 있나?"라는 의문으로 뉴욕 타임즈에서 건강 .. 2020. 3. 19.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을 위한 일사량 조사 방법?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을 위한 일사량 조사 방법? 일사량?일사량은 태양에서 방출된 에너지의 양입니다. 순간적인 에너지 량은 "kW / m2 (kw 제곱미터)"로 측정되며 적립된 에너지 량은 "kWh / m2 (킬로와트 아워 제곱미터)"또는 "MJ / m2 (메가 줄 제곱미터)" 로 표시됩니다. 2kWh / m2는 1kW의 빛이 2시간 노출되면 에너지 량을 말합니다. 또한 MJ는 1J (줄)의 100만 배를 의미하지만, 1J은 1 초에 1W의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량을 나타냅니다. 또한, 1kWh를 J로 환산하면 (1000W × 3600 초) = 360 만 J이고 3.6MJ로 표시됩니다. 태양광 발전에서는 일사량의 단위는 "kWh / m2"가 이용되는 것이 대부분의 경우가 있습니다. 태양광 .. 2020. 3. 18.
태양광 쉐어링 구조물 신개발, 대형 농기계 및 경사지 설치 가능 태양광 쉐어링 구조물 신개발, 대형 농기계 및 경사지 설치 가능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 입니다.] 출처 - https://www.itmedia.co.jp/smartjapan/articles/2003/18/news043.html 영농형 태양광 발전 (태양 공유)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치바 에코 에너지와 청정 에너지 재팬은 2020년 3월, 경사지 작업이나 대형 농기계의 사용이 쉬운, 태양광 쉐어링을 위한 발판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의 태양광 쉐어링은 등나무 식이나 배열 식 등 구조물이 일체가 되는 구조가 주류였기 때문에 발전소의 설계 자유도가 낮고, 또한 대형 농기계를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대규모 농지에 설치가 비효율적이며, 경사지에 설치할 수 없는 등의 문제.. 2020. 3. 18.
태양광 발전량 감소? 발전 효율 저하 원인과 대책 태양광 발전량 감소? 발전 효율 저하 원인과 대책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 입니다.] 출처 - http://www.smart-tech.co.jp/column/solar-power/power-generation-efficiency/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고액의 초기 비용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설치 후 발전한 전력을 잘 팔 수 있다면, 그 비용은 10년 만에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모처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 했음에도 불구하고 생각 같은 발전량을 얻을 수없는 경우에, 어쩐지 손해보는 느낌이 드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면 실제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어떤 때에 발전량이 저하되는 것일까요? 여기에서는 태양광 발전량이 저하되는 원인과 그 대처법에 대해.. 2020. 3. 17.
태양광 발전소의 사건 사고 사례 및 트러블 예방 모음글(20.03.16.) 태양광 발전소의 사건 사고 사례 및 트러블 예방 모음글(20.03.16.) [이 포스팅에 링크된 글 대부분은 일본 기사의 번역글입니다. 한국의 상황과는 상이할 수 있사오니 부디 유념하고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한국보다 한 발 빠르게 태양광 발전 사업을 시공하였던, 일본에서의 사례를 들어, 한국에서는 이런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였으면 하는 마음에 포스팅을 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 목차 태양광 발전소, 일본은 어떤 움직임을 보이고 있나? 태양광 발전소와 관련된 신 기술들을 소개한다. 동물 / 식물에 의한 태양광 발전소 피해 사례 천재지변 및 그 외에 의한 태양광 발전소 피해 사례 태양광 발전소의 원리, 모듈에 대한 정보 태양광 발전 모듈의 순위 및 비교표 태양광 발전소, 알루미늄에 대한 정보.. 2020. 3. 16.
중고 패널을 재이용, 태양광 패널의 재사용에 대해서 중고 패널을 재이용, 태양광 패널의 재사용에 대해서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 입니다.] 출처 - https://blog.eco-megane.jp/太陽光パネルのリユース/ 재생 가능 에너지 고정 가격 매입 제도의 창설 등으로 태양광 패널의 도입이 대폭 확대되고 있습니다. 태양광 패널의 수명은 20~30년으로 알려졌으며 2030년대 중반에는 사용 후 태양 전지판의 배출량이 급증할 전망입니다. 태양광 패널에는 납, 셀레늄과 같은 유해 물질이 사용되면서 관계 법령에 따른 적절한 폐기 처리가 필요합니다. (한국의 태양광 패널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장래 중고 패널의 대량 폐기에 관한 문제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 가운데 다양한 기업이 중고 패널의 재활용(재사용)에 힘을 쏟기 시작하고 있.. 2020. 3. 15.
태양광 패널을 철거하는 방법과 비용에 대해 알아보자 태양광 패널을 철거하는 방법과 비용에 대해 알아보자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출처 - http://www.smart-tech.co.jp/column/solar-power/removal/ 태양광 발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면, 태양광 패널을 비롯한 시설을 철거하는 것 또한, 생각해야 합니다. 너무 빠르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태양광 패널은 설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철거 작업은 시간이 걸리는 일이며, 처분할 때도 일반 대형 쓰레기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태양광 발전 설비와 태양 광 패널을 철거하는 방법과 비용에 대해 설명합니다. 태양광 발전 설비는 "산업 폐기물" 일반 가정의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 설비를 철거하고 처리 할 때는 산업 폐기물로 처리됩니다. 태양광 발전 설비는 .. 2020. 3. 14.
태양광 발전 모듈 메이커 별 특징 비교표 태양광 발전 모듈 메이커 별 특징 비교표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이므로, 한국의 상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xn--o9j2jbpdd3oe0ff3622gs0tai90g7wvectb.com/comparison-ranking/ 태양광 업체마다 '발전량 '과 '비용'을 비교했을 때 어떤 평가가 되는지를 간단히 살펴 보자. 국내외 모두 시장을 차지하는 메이커가 있지만, 발전량 중시의 방향 뿐, 비용에 민감한 분들은 선택에 따라 업체가 달라집니다. 메이커마다의 특징을 비교하여 적절한 업체를 선택합시다. 태양광 발전 메이커 별 특징 비교 도시바공칭 최대 출력변환 효율태양 전지의 종류발전량비용250W20.1 %단결정고고200W15.4 %단결정고고세계 NO.1의 변환 효율을 자랑하는.. 2020. 3. 13.
태양광 스틸 구조물에 생기는 녹이 발전소를 위협한다. 태양광 스틸 구조물에 생기는 녹이 발전소를 위협한다.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출처 - https://www.itmedia.co.jp/smartjapan/articles/1701/24/news020.html 태양광 발전 설비에 발생하는 불량 가운데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바로 녹입니다. 금속에 녹(금속 부식이 발생하는 것은 태양광 발전 설비가 항상 비바람에 노출되어 있다는 이유만이 아닙니다. 다른 금속끼리 접촉하여 사용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이 있어, 이것이 원인으로 녹이 발생하는 것도 많습니다.) 아래 사진(그림 1)을 보시면 스틸 부품과 태양광 모듈의 프레임의 접합 부분에서 발생한 녹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스틸 부품과 프레임 재질의 차이에 의한 전식이 원인으로 보.. 2020. 3. 12.
식물의 엽록체를 이용한, '광합성 패널' 개발 식물의 엽록체를 이용한, '광합성 패널' 개발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 한 것입니다.] 출처 - https://project.nikkeibp.co.jp/ms/atcl/19/news/00001/00678/?ST=msb 세츠난 대학 (오사카 네야가와시)은 식물의 엽록체를 이용한 '광 바이오 연료 전지'를 개발했다. 광합성을 통해 산소, 수소 이온, 전자를 생성시키고, 빛을 전기로 변환한다. 빛을 이용하여 물을 산소와 수소로 완전히 분해 "광화학 계 II 복합체 (PS II)"을 포함하는 용액을 연료로 물고기의 비늘 등 자연 유래 재료의 전해질을 구성했다. 백금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 PS II는 식물의 엽록체에 포함 된 틸라코이드 막에서 추출 할 수 있으며, 이번에는 벌목.. 2020. 3. 12.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 2030년까지 4500억엔 성장 예상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 2030년까지 4500억엔 성장 예상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를 번역한 것입니다.] 출처 - https://project.nikkeibp.co.jp/ms/atcl/19/news/00001/00665/?ST=msb 후지 경제는, 기존 태양 전지의 발전 성능을 상회 할 것으로 기대되는 페로브스카이트(PSC), 염료 감응(DSC), 유기 박막(OPV), 갈륨 비소(GaAs) 등 차세대 태양 전지에 대한 세계 시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에 기존 태양 전지의 시장 규모 · 4조 1730억 엔이며, 차세대 태양 전지 시장은 6억 엔으로 전망 된다고 한다. 여기서 기존 태양 전지의 시장 규모는 결정 실리콘 형 외에도 CIS (CIGS)와 CdTe 계 화합물 반도체 형을 포함한다. .. 2020. 3. 12.
쥐가 전선을 갉아 누전, 하마터면 태양광 발전소가 실행 중지 될 뻔 쥐가 전선을 갉아 누전, 하마터면 태양광 발전소가 실행 중지 될 뻔 출처 - https://project.nikkeibp.co.jp/ms/atcl/19/feature/00002/00026/?ST=msb&P=3 [이 포스팅은 일본 기사 번역 글이므로, 한국의 상황과는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번에는 올해의 간지인 「쥐」에 의해, 메가 솔라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매전이 멈춰버릴 뻔 한 사례를 소개한다. 이 태양광 발전소는 우천시 누전 경보가 통지되었다. 이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이므로, 본래는 우천시 점검을 실시하는 쪽이 일어나는 현상을 파악하기 쉽다. 그러나 당연히 어떤 검사 사업자라도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검사하는 것을 피한다. 맑은 날에 비해 작업이 어렵고, 작업시의 부.. 2020. 3. 12.
태양광 발전 패널과 태양광 발전 모듈의 차이점? 태양광 발전 패널과 태양광 발전 모듈의 차이점?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자주 듣는 "태양광 발전 패널"과 "태양광 발전 모듈" 이 문서에서는 착각하기 쉬운 "태양광 발전 패널"과 "태양광 발전 모듈"두 호칭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일본 웹 사이트 번역글임을 명시합니다.] 출처 - https://www.taiyo-co.jp/84791/ - 태양광 발전 패널과 태양광 발전 모듈의 차이는 호칭! 결론부터 우선 말하자면 "태양광 발전 패널"과 "태양광 발전 모듈'이 가리키는 대상은 모두 동일한 것 입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패널"과 "태양광 발전 모듈"의 차이는 호칭 뿐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패널"과 "태양광 발전 모듈" 두 호칭을 사용하여도 틀린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 2020. 3. 8.
개미가 전선을 갉아 먹어, 태양광 발전소 발전 중지 개미가 전선을 갉아 먹어, 태양광 발전소 발전 중지- アリが電線を食いちぎり、メガソーラーが稼働停止! 이번에 소개하는 것은, 메가 솔라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라는 스케일이 큰 설비가 "개미"에 의해 발전 정지에 이른, "코끼리가 벼룩에게 진 이야기" 라는 일화 같은 예이다. 이미지 1 ● 개미가 뚫은 것으로 보이는 배관의 구멍 관동 지방에있는 출력 1MW의 메가 솔라에서 원격 감시 시스템을 통해 파워 컨디셔너 (PCS)이 발전을 정지했다는 경보가 도착했다. 경보를 받고, 전기 주임 기술자는 메가 솔라에 도착하였다. PCS의 표시 화면을 검토한 결과, 태양광 패널의 발전 전력이 PCS에 입력 될 때까지의 직류 회로 누전(절연 불량에 의해 전류가 대지로 흘러 버리는 상태)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었다. .. 2020. 3. 6.
태양광 발전 패널 뒤, 말벌 둥지가 자란다. 태양광 발전 패널 뒤, 말벌 둥지가 자란다.~ 太陽光パネルの裏に、スズメバチの大きな巣! 메가 솔라 (대규모 태양 광 발전소)는 한적한 산림 등에 위치하는 것도 많다. 원래 동물과 식물, 곤충 등이 서식하고 있던 장소에 울타리를 사이에두고 발전 설비를 설치하며, 운용이 시작되고 나서는 사람의 출입이 적어진다. 이러한 야생 동식물의 침입은 불가피해 문제로 이어지는 경우도있다. 문제 중 하나는 "말벌에 의한 둥지"가 있다. 둥지가 있는 것 자체는 발전 설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그러나 O & M (운영 및 유지 보수)에 관한 작업 시 작업자를 찔러 해칠 우려가 있다. 말벌에 의한 사상 사고는 매년 여름부터 가을이 되면 늘어난다. 물린 사람이 그 독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보도 되기도 한다. 말벌 집은 처마.. 2020. 3. 5.
반응형